#토익900점 필수영단어
frequently

[ frí:kw∂ntli ]

1. 자주
2. 종종
3. 빈번히
4. 잦은
5. …하는 경우가 많다

예문 9

Farmers also frequently got sick.
농부들의 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칩니다.
Albatrosses frequently fly six, sometimes ten thousand miles
알바트로스들은 자주 6천 마일을, 어떤 때는 만 마일을 납니다.
I know an American researcher who travels frequently
제가 아는 미국인 연구원이 하나 있는데
This is something that designers also have to deal with frequently.
그건 디자이너들도 종종 겪게 되는 상황이죠.
deal with
"다루다. 취급하다." 라는 의미이며,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How do I deal with that?
    그것을 어떻게 다뤄야 하지?
  • How may I deal with this problem politely?
    이 문제를 어떻게 정중히 다뤄야 할까?
have to
"~을 해야 한다." 라는 의미이며,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You have to remember.
    너는 기억해야 한다.
  • You have to communicate.
    너는 대화를 해야 한다.
  • You have to prepare.
    너는 준비해야 한다.
In Parliament, we frequently discuss the issues of public services and public transport.
의회에서는 공공서비스와 대중교통의 문제를 자주 논의한다.
Tuberculosis is one of the three most frequently occurring infectious diseases, along with HIV and malaria.
결핵은 HIV, 말라리아와 함께 가장 자주 발생하는 3대 전염병 중 하나이다.
When you are entering information in the system, please click frequently on the "Save" button.
시스템에 정보를 입력할 때 "저장" 단추를 자주 클릭하십시오.
Choose to eat wholegrain and ground foods more frequently.
통밀과 갈은 음식을 더 자주 먹는 것을 선택하라.
The store layout is changed frequently, following the seasonality of the sports.
스포츠의 계절성에 따라 매장 배치가 자주 변경된다.

이런 단어도 공부해 보세요

이시간 주요 뉴스

알뜰주유소 명과 암…“인위적 가격 이중구조, 유통질서 붕괴”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에너지 가격의 변동성은 언제나 서민 경제의 가장 민감한 뇌관이다. 이런 이유로 항상 물가 관리 차원에서 가격 통제의 도구로 다뤄져 왔다. 국제 유가

#경제 , #이데일리 , 11월 26일
기업 수출대금, 고환율 구원투수 될까…정부, 유인책 만지작

[세종=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원·달러 환율이 1500원에 가까워지면서 정부의 움직임도 빨라졌다. 대규모 경상수지 흑자에도 원화 가치 하락이 지속되자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

#경제 , #이데일리 , 11월 26일
“코리아패싱 조짐…약가 정책 변화가 필요”

우리 사회에 따뜻함을 전해온 예종석 한양대 명예교수가 대한민국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명사들과의 릴레이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그들의 경험을 통해 얻은 교

#경제 , #이데일리 , 11월 26일
진심이었구나? MLB 복귀 원한 '킹캉' 강정호의 '쇼케이스'…다저스 스카우트도 있었다

[OSEN=홍지수 기자] 전 메이저리거 강정호(38)가 다시 메이저리그에서 뛸 수 있을까. 24일 강정호의 유튜브 채널 ‘강정호_King Kang’에서는 “킹캉 다저스 가나? ML

#스포츠 , #OSEN , 11월 26일
정부 개입의 그늘…알뜰주유소 이중가격에 일반 주유소 ‘한계’

[이데일리 김은경 기자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 알뜰주유소 정책을 정부의 인위적인 시장 개입 대신 민간 중심 체제로 제도를 손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15년간

#경제 , #이데일리 , 11월 26일